-
Research Paper
-
An Analytical Study for Determining Steel Box Connector’s Dimensions for PC Wall Connection
PC벽체 연결을 위한 철물박스 연결재의 제원 결정에 대한 해석적 연구
-
Seong-Jun Park, Hyeoung-Deok Lee, Kyu-Woong Bae, Jiho Moon
박성준, 이형덕, 배규웅, 문지호
- The off-site construction (OSC) method, which involves the off-site prefabrication of structural components in a factory, followed by transportation and subsequent assembly …
공장에서 부재를 선제작하고 현장으로 운송하여 조립하는 OSC (Off-Site Construction) 공법은 최근 건설 산업에서 점차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선제작 부재간의 연결부는 기존 연속 …
- The off-site construction (OSC) method, which involves the off-site prefabrication of structural components in a factory, followed by transportation and subsequent assembly on-site, has been increasingly appli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Ensuring that the connections between prefabricated components achieve structural performance comparable to that of conventional continuous structures is essential. In the case of precast (PC) wall connections, particular attention must be given to ensuring adequate stiffness and strength at the joints. Various techniques are employed for connecting PC walls, and recently, a new type of mechanical connection featuring a steel box connector has been develope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roper dimensions for the proposed steel box connector and to assess its structural performance analytically. First, the mechanical connection requirements outlined in the design standards were examined. Following this, a finite element model of the proposed steel box connector was developed, and parametric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dimensions. Finally, a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PC wall incorporating the selected steel box connector dimensions to assess its structural performance.
- COLLAPSE
공장에서 부재를 선제작하고 현장으로 운송하여 조립하는 OSC (Off-Site Construction) 공법은 최근 건설 산업에서 점차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선제작 부재간의 연결부는 기존 연속 구조물과 유사한 수준의 구조성능을 발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PC 벽체 연결의 경우 벽체를 연결하는 접합부에서 충분한 강성과 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PC 벽체간 연결은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최근 새로운 형식의 기계적이음 철물박스 연결재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안된 철물박스 연결재에 적합한 제원을 결정하고 구조성능을 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설계기준에 명시된 기계적이음의 요구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철물박스 연결재의 유한요소모델을 정립하고 앞서 조사한 기계적이음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제안된 철물박스 연결재의 주요 제원을 변수로 변수해석을 수행하여 제안된 철물박스 연결재의 제원을 결정하였다. 이후 결정된 제원을 적용한 PC 벽체에 대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이의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
An Analytical Study for Determining Steel Box Connector’s Dimensions for PC Wall Connection
-
Research Paper
-
Study on Application Guidelines for Timber Panel Systems in Mid-to-High-Rise Timber Buildings
중・고층 목조 건축물의 목재패널시스템 적용 가이드라인 연구
-
Saemi Yoon, Nahyun An, Yeong-Min Kim
윤새미, 안나현, 김영민
- This study present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floor, wall, and core timber panel systems implemented in two representative mid-to-high-rise, panel-system-based timber …
본 논문에서는 패널시스템 기반의 대표적인 2개의 중・고층 목조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건축물에 적용된 바닥, 벽체 및 코어 패널시스템을 구조성능, 경제성, 내화성, 사용성, …
- This study present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floor, wall, and core timber panel systems implemented in two representative mid-to-high-rise, panel-system-based timber building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economic viability, fire resistance, serviceability, timber recycling, and overall material consump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lternative design strategies were proposed to enhance the overall performance of each building. The study found that replacing the CLT floor panels in Bridport House with prefabricated LVL-joist panels and substituting the concrete core of the Badenerstrasse Building with a CLT panel core would significantly improve performance. The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serve as a guideline for identifying optimal structural systems in the design of mid-to-high-rise timber buildings.
- COLLAPSE
본 논문에서는 패널시스템 기반의 대표적인 2개의 중・고층 목조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건축물에 적용된 바닥, 벽체 및 코어 패널시스템을 구조성능, 경제성, 내화성, 사용성, 목재 재활용성, 목재 사용량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각 건축물의 전체적인 성능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Bridport House의 CLT 바닥패널은 조립목재패널로 변경하고 Badenerstrasse Building의 콘크리트 코어는 CLT 패널 코어로 변경하면 전반적으로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교분석 틀은 중・고층 목조 건축물의 설계 시 최적 구조시스템 도출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된다.
-
Study on Application Guidelines for Timber Panel Systems in Mid-to-High-Rise Timber Buildings
-
Research Paper
-
Proposal for Improving Seismic Retrofit Policies through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eismic Isolation Systems
지진 격리 시스템 효과 분석을 통한 내진 보강 정책 개선 제안
-
Taewoo Kang, Jung Sik Kong
강태우, 공정식
- Since the first documented earthquake in 1978, South Korea has experienced a steady increase in seismic activity, with over 2,100 earthquakes of …
1978년 최초로 지진이 관측된 이후, 대한민국은 2022년까지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2,100회 이상 발생하는 등 지진 활동이 점차 증가해 왔다. 특히 2016년 …
- Since the first documented earthquake in 1978, South Korea has experienced a steady increase in seismic activity, with over 2,100 earthquakes of magnitude 2.0 or greater recorded by 2022. Notable events such as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M 5.8) and the 2017 Pohang earthquake (M 5.4) have highlighted the country’s vulnerability to seismic hazards. In response, the Korean government has introduced a series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Master Plans, culminating in the third and current version. Despite ongoing efforts, these plans have primarily concentrated on seismic reinforcement strategies designed to prevent structural collapse, rather than maintaining the operational functionality of critical infrastructure during and after seismic events. This study analyzes the progression and limitations of South Korea’s earthquake policies, emphasizing the shortcomings of uniform retrofit approaches and the insufficient adoption of advanced methods such as seismic isolation and energy dissipation systems. Drawing o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the research proposes a range of improvements, including performance-based design guidelines, function-preserving retrofit measures, and the expanded application of hybrid seismic technologies. The findings offer practical policy and engineering insights aimed at enhancing national resilience against future seismic events.
- COLLAPSE
1978년 최초로 지진이 관측된 이후, 대한민국은 2022년까지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2,100회 이상 발생하는 등 지진 활동이 점차 증가해 왔다. 특히 2016년 경주 지진(M 5.8)과 2017년 포항 지진(M 5.4)과 같은 대형 지진은 대한민국이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지진방재종합계획’을 연속적으로 수립・시행하였으며, 현재는 제3차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정책은 주로 구조물의 붕괴 지연에 초점을 맞춘 내진 보강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지진 발생 중이나 이후에 주요 기반시설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한민국의 지진 방재 정책의 발전 과정과 한계를 분석하고, 획일적인 내진 보강 방식의 한계 및 지진 격리장치와 같은 첨단 기술의 활용 부족을 지적하였다. 또한, 국내외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성능 기반 설계 기준, 기능 유지형 보강 전략, 복합형 내진 기술의 확대 적용 등을 포함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지진에 대비한 국가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정책 개선 안을 제시한다.
-
Proposal for Improving Seismic Retrofit Policies through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eismic Isolation Systems
-
Research Paper
-
Seismic Fragility Analysis for a Gas-Plant System using Fault Tree-based Bayesian Network
고장수목 기반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스 플랜트 시스템 지진 취약도 분석
-
Se-Hyeok Lee, Sangki Park, Jeong-Rae Cho
이세혁, 박상기, 조정래
- A fault tree-based Bayesian network (FT-BN) framework was proposed for the seismic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sPSA) of gas plants. The framework models …
확률론적 지진 안전성 평가(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를 위해서 고장수목(Fault Tree) 기반 베이지안 네트워크(Bayesian Network, BN) 방법론이 제안된 바 있다. 해당 방법론은 시스템 구성요소들을 …
- A fault tree-based Bayesian network (FT-BN) framework was proposed for the seismic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sPSA) of gas plants. The framework models the components of a system as random variables, and constructs a network based on the correlations derived from plant processes. The constructed BN demonstrates strong potential for making risk-informed decisions when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are available. However, performing sPSA for plant systems requires detailed fragility data for individual components, which remains limited in existing literature. To address this gap,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revealing that the Hazus Earthquake Model Technical Manual (2024) developed by the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provides fragility curves for entire systems as well as for individual plant equipmen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validate that the FT-BN can derive system-level fragility from component-level fragilities and to compare the resulting system fragility with that provided by FEMA. To achieve this, several hypothetical plot-plans were assumed, and corresponding FT-BNs were constructed. Numerical investigations confirmed that the system fragilities estimated using the FT-BN were generally more conservative than those presented by FEM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T-BN framework enables a more comprehensive assessment by incorpora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ystem.
- COLLAPSE
확률론적 지진 안전성 평가(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를 위해서 고장수목(Fault Tree) 기반 베이지안 네트워크(Bayesian Network, BN) 방법론이 제안된 바 있다. 해당 방법론은 시스템 구성요소들을 확률변수로 가정하고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네트워크로 구축한 후, 변수들에 다양한 정보들을 입력함으로써 유연한 시스템 의사결정 수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 평가를 위해서는 개별 요소들의 취약도 정보는 필수적이나, 플랜트 관련 설비들의 취약도 정보는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문헌조사를 수행하였고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FEMA)에서 전체 시스템과 더불어 다양한 구조물 및 설비들의 취약도 정보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EMA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취약도와 개별 요소들의 취약도 정보를 기반으로 BN을 통해 도출한 시스템 취약도를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세 규모의 가스플랜트 Plot Plan을 정의하였고, 이에 대응하는 BN 모델을 이용하여 시스템 취약도를 산출하였다. 세 규모에 대해 도출한 시스템 취약도와 FEMA에서 제공한 시스템 취약도를 비교한 결과, 도출된 취약도가 보수적으로 산정됨을 확인하였고, 추가적으로 구축된 BN의 개별 설비들의 취약도 손상 상태(Damage State, DS)를 변경해가면서 시스템 취약도를 산출한 결과 역시 FEMA에서 제시한 값보다 보수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시스템의 고장을 정의하는 DS 차이로 인한 결과이며 플랜트마다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 취약도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Seismic Fragility Analysis for a Gas-Plant System using Fault Tree-based Bayesian Network
-
Research Paper
-
Construction of the SAFE Database Specialized for Korean Structural Engineer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System Using the MAXIM Method
한국 건축구조공학 분야 특화 SAFE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MAXIM 검색 기법을 활용한 RAG 시스템 성능 평가
-
Seok-Jae Heo, Won-Jun Choi, Sang-Hyun Lee
허석재, 최원준, 이상현
- The rapid advancement of large language models (LLMs) presents both significant opportunities and notable challenges to structural‐engineering practice. To evaluate their reliability …
본 연구는 한국 건축・구조공학 도메인에 특화된 SAFE(Safetyoriented AI Framework for Engineering) 지식베이스와 이를 활용한 검색 증강 생성(RAG) 시스템을 제안한다. SAFE는 전문용어집, 설계 …
- The rapid advancement of large language models (LLMs) presents both significant opportunities and notable challenges to structural‐engineering practice. To evaluate their reliability within a Korean context, we introduce safety-oriented AI framework for engineering (SAFE)—a domain-specific benchmark that integrates a 377 K-snippet knowledge base with 4,200 expert-designed questions drawn from five representative datasets (MMLU-Struct, StructQA-KO, SPED, StructMCQA, StructCase-Y/N). We used SAFE to analyze several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pipelines that differed in corpus structure, retriever architecture, and LLM family. The optimal configuration—a StructCorpus combined with a StructCPT retriever (MAXIM) feeding an ensemble GPT‑4o generator—achieved an overall accuracy of 89.1%, representing a 3.87-percentage‑point improvement over the strongest baseline LLM employing chain‑of‑thought prompting alone (85.2%). Performance peaked at 94.9% on the StructCase‑Y/N task, which assesses compliance with domestic building standards through practical, case‑based questions. Ablation studies revealed that retrieving approximately 32 snippets per query offers the optimal balance between accuracy and latency, whereas larger context windows yield diminishing returns. These results confirm that a well-curated structural‐engineering knowledge base, combined with a domain‑specialized retriever, significantly reduces hallucination and enhances answer fidelity. Accordingly, SAFE represents the first large‑scale evaluation framework specifically designed for Korean structural engineering and provides a reproducible platform for advancing research on safety‑critical AI decision support.
- COLLAPSE
본 연구는 한국 건축・구조공학 도메인에 특화된 SAFE(Safetyoriented AI Framework for Engineering) 지식베이스와 이를 활용한 검색 증강 생성(RAG) 시스템을 제안한다. SAFE는 전문용어집, 설계 기준, 교과서, 프로젝트 보고서에서 추출한 37.7만개 스니펫을 통합하여 국내 구조설계기준(KDS)과 최신 실무 사례를 포괄한다. SAFE 기반 파이프라인은 5개 대표 과업(MMLUStruct, Struct QAKO, SPED, StructMCQA, StructCaseY/N)으로 구성된 4,200문항 벤치마크에서 전체 정확도 89.1%를 기록하여, 체인오브생각(CoT) 방식의 최고 성능 LLM 대비 3.87%p 향상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국내 기준・실무 판정 과업인 StructCaseY/N에서 94.9%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절편 분석 결과, 질의당 32개 스니펫을 투입할 때 정확도와 응답 지연 간 최적 균형점이 형성되며, 그 이상에서는 성능 개선 대비 비용이 급격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질문 유형별로 최적 정보 출처가 상이함을 규명하여, 도메인 맞춤형 코퍼스 가중치 조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의 구조공학 RAG 평가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안전 중심 AI 의사결정 지원 도구의 실무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고 향후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
Construction of the SAFE Database Specialized for Korean Structural Engineer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System Using the MAXIM Method
-
Research Paper
-
Design and Evaluation of StructCPT: A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System Specialized for the Korean Architectural Structural Engineering Domain
StructCPT: 한국 건축구조공학 도메인 특화 검색-증강 생성 시스템의 설계와 평가
-
Seok-Jae Heo, Won-Jun Choi, Sang-Hyun Lee
허석재, 최원준, 이상현
- Recent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structural engineering have increasingly integr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that employ large language models (LLMs). …
최근 건축 구조공학 분야에서도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이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형 구조설계 기준과 같은 지역 특화 규정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
- Recent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structural engineering have increasingly integr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that employ large language models (LLMs). However, these technologies face notable limitations, such as failing to incorporate region-specific structural design standards (e.g., KDS) or producing inaccurate and hallucinatory information.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has emerged as a viable approach to overcoming these challenges. This study proposes StructCPT, an RAG system tailored for the Korean architectural structural engineering domain, and evaluates its performance. StructCPT is a domain-adapted retriever that extracts pertinent information from a Korean-language structural engineering knowledge base in real-time. It leverages maximum similarity retrieval (MAXIM), a contrastive learning-based embedding technique designed to enhance semantic similarity between queries and documen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tructCPT consistently and significantly outperforms conventional retrieval methods, including BM25, Contriever, and SPECTER, across key quantitative metrics (Recall@10, MRR, and Precision@10). Notably, substantial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handling specialized structural engineering terminology and syntactically complex queries, resulting in enhanced retrieval accuracy and recall. Furthermore, StructCPT demonstrated practical scalability in terms of retrieval speed and memory usage, confirming its applicability to real-world scenarios.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implementation of an RAG system specifically customized for structural engineering. It also outlines future developments, including the integration of multimodal data (e.g., drawings, images) and the incorporation of knowledge graphs, thereby laying a foundational basis for safe and trustworthy AI-driven decision support in structural engineering.
- COLLAPSE
최근 건축 구조공학 분야에서도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이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형 구조설계 기준과 같은 지역 특화 규정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환각 현상 등 여러 한계를 보인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서 검색-증강 생성(RAG)이 제시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한국 건축 구조공학 도메인에 특화된 RAG 시스템인 StructCPT를 개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StructCPT는 한국어 기반 구조공학 지식베이스에서 질의에 적합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도메인 특화 검색기이며, 대조학습 기반의 MAXIM(Maximum Similarity Retrieval) 임베딩 기법을 이용하여 질의와 문서 간 최대 의미적 유사도를 학습한다. 실험 결과 StructCPT는 BM25, Contriever, SPECTER와 같은 기존 범용 검색 기법들 대비 정량적 평가 지표에서 일관되고 유의미한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구조공학 전문 용어 처리와 복합적 질의에 대한 검색 정확도 및 재현율에서 월등히 높은 성과를 나타냈으며, 실제 구조공학 문제 적용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또한 검색 속도와 메모리 사용 측면에서도 실무 적용에 적합한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공학 분야에 특화된 최초의 RAG 시스템 개발 사례로서, 향후 도면・이미지 등 멀티모달 정보와 지식그래프 통합을 통한 추가 발전 방향을 제시하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기반 구조공학 의사결정 지원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
Design and Evaluation of StructCPT: A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System Specialized for the Korean Architectural Structural Engineering Domain
-
Research Paper
-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Equipment in Nuclear Facilities Using the Random Vibration Theory
무작위진동이론에 기반한 원전 기기의 지진취약도분석
-
Jin Ho Lee
이진호
- In this study, a seismic fragility analysis methodology for equipment installed in nuclear power plants is proposed using the random-vibration-theory (RVT) approach. …
이 연구에서는 원전 시설물의 부지응답해석 및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해석 등 다양한 동적 문제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작위진동이론(random vibration thoery, RVT) 방법론을 …
- In this study, a seismic fragility analysis methodology for equipment installed in nuclear power plants is proposed using the random-vibration-theory (RVT) approach.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diverse dynamic analyses such as site response analysis and soil–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of in nuclear power plant environments. The RVT technique does not require the direct use of ground motion time histories, making it particularly beneficial in regions such as Korea that lack extensive records of significant seismic events. The power spectral density (PSD) function of the input ground motion is employed to perform a stochastic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of the soil–structure interaction system, and the PSD function of the resultant pseudo-acceleration of equipment installed within the structure is subsequently derived. The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in-structure response spectrum (ISRS) is then obtained by applying peak factors to the PSD function to estimate the peak value of the pseudo-acceleration of the equipment, and the failure probability and fragility curve of the equipment are estimated based on its failure criteria. The seismic fragility analysis method, developed using the proposed RVT methodology, is applied to equipment installed in a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situated on a homogeneous hard or soft rock half-space, an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nalysis method is demonstr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response-history methodology.
- COLLAPSE
이 연구에서는 원전 시설물의 부지응답해석 및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해석 등 다양한 동적 문제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작위진동이론(random vibration thoery, RVT) 방법론을 사용하여 원전 구조물에 설치된 기기의 지진취약도 분석기법을 제안한다. RVT에 기반한 해석기법은 입력지반운동의 시간이력을 직접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이 강진지진기록이 충분하지 않은 지역에서 유용한 방법이다. 입력지반운동의 파워스펙트럼밀도(power spectrum density, PSD) 함수를 사용하여 대상 지반-구조물 상호작용계의 추계학적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구조물 내부에 설치된 기기의 유사가속도에 대한 PSD 함수를 산정한다. 이 PSD 함수에 무작위진동 첨두응답의 확률분포를 추정할 수 있는 첨두값 계수를 적용하여 기기 유사가속도의 첨두값, 즉 구조응답스펙트럼의 누적분포함수를 추정하고, 기기의 고장 조건을 적용하여 기기 고장 확률과 취약도곡선을 산정한다. 제안한 RVT 방법론에 근거한 지진취약도 분석기법을 균질 반무한 경암 및 연암 지반에 놓인 원전 구조물에 설치된 기기에 적용하고, 응답이력 방법론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제안한 기법의 정확성을 검증한다.
-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Equipment in Nuclear Facilities Using the Random Vibration Theory
-
Research Paper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house Iterative Solvers for Linear Systems in Implicit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Lattice Models
격자 모델 기반 내연적 구조해석을 위한 선형 시스템 반복 솔버 개발 및 검증
-
Young Kwang Hwang, Jong-Chan Kim, Ki-Ha Kim
황영광, 김종찬, 김기하
-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suite of iterative solvers was developed to efficiently address linear systems arising from implicit time integration and …
본 연구에서는 내연적 시간적분법과 비선형 정적해석에서 발생하는 선형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자체 솔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희소행렬 연산에 유용한 반복법과 …
-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suite of iterative solvers was developed to efficiently address linear systems arising from implicit time integration and nonlinear static analysis. The package incorporates several iterative solvers and preconditioning techniques to manage large and sparse matrices. In-house development was undertaken to enable flexibility in modifying and applying the program code for various structural problems. Furthermore, matrix and vector operations were implemented using the compressed sparse row (CSR) format, significantly reducing memory usage and improving computational efficiency. To validate the developed code, the solution algorithms were applied to linear systems formed from the stiffness matrices of a Voronoi-cell lattice model. Considering both linear and nonlinear static structural problems, the corresponding symmetric and asymmetric system matrices were constructed and utilized. In a practical application, the solution algorithms were applied to a beam deflection problem, and the numerical results obtained from the iterative method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in terms of convergence, computational efficiency, matrix symmetry, and system size.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numerical robustness of the in-house iterative solvers and validated their applicability to implicit structural analysis problems.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내연적 시간적분법과 비선형 정적해석에서 발생하는 선형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자체 솔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희소행렬 연산에 유용한 반복법과 전처리기(preconditioner)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으며, 자체 개발을 통해 프로그램 코드의 수정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메모리 사용량 절감 및 계산 효율성 향상을 위해 CSR(compressed sparse row) 형식 기반의 행렬 및 벡터 연산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솔버 성능 검증을 위해 Voronoi-cell 격자 모델 기반 선형시스템을 대상으로 개별 반복법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아울러 선형/비선형 정적 구조 거동을 모두 고려하여 관련 대칭/비대칭 시스템 행렬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였다. 보의 처짐 문제를 대상으로 각 반복법의 결과를 수렴성, 계산 시간, 행렬의 대칭성 및 크기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자체 개발한 반복법 솔버의 수치적 성능을 검증하였고 내연적 구조해석 등에 수반되는 선형 시스템의 근사해 계산에 개발 코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house Iterative Solvers for Linear Systems in Implicit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Lattice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