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Paper

    Modeling Technique for Simulating the Scabbing Area of Reinforced Concrete Panels Subjected to Impact Loads

    충돌하중을 받는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배면파쇄 영역 모사 기법

    Jungwhee Lee, Yeongjun Kim, Jaeyong Yoon, Huina Jang

    이정휘, 김영준, 윤재용, 장희나

    In this study, a modeling technique is proposed to simulate the scabbing area of RC panels subjected to medium-speed impact loads using …

    본 연구에서는 중속 충돌하중을 받는 RC 벽체의 배면파쇄 영역을 모사할 수 있는 모델링 기법을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LS-DYNA을 통해 제안하였다. 충돌해석에 주로 …

    + READ MORE
    In this study, a modeling technique is proposed to simulate the scabbing area of RC panels subjected to medium-speed impact loads using LS-DYNA, a general-purpos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It was assumed that the element erosion function, commonly used in crash analysis, affects the load transfer of the projectile, resulting in an underestimation of the scabbing area. Therefore, a modeling technique that does not use element erosion around the impact region is proposed. The simulations using the proposed method closely simul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ing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s effective for the transfer of continuous collision energy.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was further investigated for other impact conditions, and the results reveal that the method can more closely simulate the scabbing area of RC panels when the ti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is modeled without applying symmetry conditions.


    본 연구에서는 중속 충돌하중을 받는 RC 벽체의 배면파쇄 영역을 모사할 수 있는 모델링 기법을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LS-DYNA을 통해 제안하였다. 충돌해석에 주로 사용되는 요소 삭제 기능이 발사체의 하중 전달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배면파쇄 영역이 과소평가 된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충돌 위치 주변에는 요소 삭제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모델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적용한 해석이 실험 결과를 근접하게 모사함에 따라, 제안한 기법이 연속적인 충돌에너지의 전달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다른 충돌 조건에 대해 해당 기법의 적용성 검토를 진행한 결과, 대칭 조건을 사용하지 않고, 철근의 결속을 함께 모사할 경우 RC 벽체의 파괴 거동을 더욱 근접하게 모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Radiation-Induced Volumetric Expansion and Temperature Effects on the Structural Integrity of Concrete Biological Shield Wall

    방사선조사 유발 체적팽창과 온도가 콘크리트 생체 차폐벽의 구조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Jinbok Choi, Daegi Hahm

    최진복, 함대기

    This study assesses the structural integrity of concrete biological shield (CBS) walls in nuclear power plants, considering the effects of radiation-induced volumetric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조사 유발 체적팽창(RIVE)이 원자력 발전소의 콘크리트 생체 차폐벽의 구조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자로 압력용기 감시 프로그램의 …

    + READ MORE
    This study assesses the structural integrity of concrete biological shield (CBS) walls in nuclear power plants, considering the effects of radiation-induced volumetric expansion (RIVE). The research focuses on the impact of neutron irradiation on concrete material propertie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extending nuclear power plant lifespans beyond their original operating license period. This study outlines a method to estimate neutron fluence levels in CBS walls using data from reactor pressure vessel surveillance programs. It describes the process of calculating fluence attenuation starting from the inside surface of the reactor pressure vessel (RPV) to the CBS wall outside and presents a model for radiation-induced volumetric expansion (RIVE) in concrete. The effect of temperature rise of the CBS wall during the operation is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RIVE effects because the stress state of the CBS wall can be affected by elevated temperature. A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IVE and temperature on the CBS wall structure.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ressive stresses in the inner region of the CBS wall can exceed the compressive strength limit of the concrete, while tensile stresses in the outer region may lead to cracking. The stress distribution shows an increasing trend with accumulated neutron fluence over time. The temperature also affects the stress state of the CBS wall but its influence is not that significant compared to the effect of RIVE because the level of thermal strain and its gradient through CBS wall is less than those of RIVE. Further research considering more practical geometries, fluence distributions, and the inclusion of reinforcing rebar elements in CBS wall models will be performed and the assessment of radiation effects on reactor pressure vessel support structures and anchor systems will als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조사 유발 체적팽창(RIVE)이 원자력 발전소의 콘크리트 생체 차폐벽의 구조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자로 압력용기 감시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생체 차폐벽의 누적 중성자 조사 수준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원자로 압력용기(RPV) 내부 표면에서 차폐벽 외부까지의 누적 조사량의 감쇠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콘크리트의 방사선 조사 유발 체적팽창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콘크리트 생체 차폐벽의 응력 상태는 온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방사선조사유발 체적팽창 효과와 더불어 운전 중 차폐벽의 온도 상승 효과도 고려하였다. 콘크리트 생체 차폐벽 구조에 대한 방사선 조사 유발 체적팽창과 온도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 차폐벽의 안쪽 표면 부근 영역의 압축 응력이 국부적으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한계를 초과할 수 있으며, 외부 영역의 인장 응력은 균열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성자 누적 조사량이 증가하면 응력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온도도 차폐벽의 응력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은 방사선조사 유발 체적팽창의 효과에 비해 그다지 크지 않았다.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차폐구조물의 보다 현실적인 기하학적 구조, 중성자 조사량 분포, 그리고 차폐벽 내부 보강 철근 요소 등을 포함하는 상세 모델을 바탕으로 콘크리트 생체 차폐벽에 설치되는 압력용기 지지 구조물 및 앵커 시스템에 대한 영향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Seismic Retrofit Strategy Reducing Torsion-Induced Higher Mode Effects of Torsionally-Coupled Low-Rise Buildings

    횡-비틀림 거동하는 고차모드 지배 저층구조물의 내진보강 전략

    Yi-Seop Shin, Hyung-Joon Kim

    신이섭, 김형준

    The lateral-torsional behavior of low-rise buildings may amplify higher mode effects, requiring both nonlinear static and linear dynamic analyses for seismic performance …

    저층 건축물의 횡-비틀림 거동은 고차모드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내진성능평가 시 관련 기준은 고차모드 지배 구조물에 대해 비선형정적해석과 함께 선형동적해석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

    + READ MORE
    The lateral-torsional behavior of low-rise buildings may amplify higher mode effects, requiring both nonlinear static and linear dynamic analyse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relevant standards. The linear dynamic procedures involve significant safety factors, unintentionally leading to excessive seismic retrofitting designs. Engineers have employed trial-and-error methods to mitigate higher mode effects during seismic retrofit design. However, this approach requires substantial time and effort, and it is challenging to verify the optimality of the retrofit solutions. The current study establishes a mathematical model of low-rise buildings and conducts response spectrum analysis to independently assess the influence of torsion on higher mode effects.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presents graphs and procedures that can be utilized for efficient seismic retrofit design. The proposed procedures demonstrate that the higher mode effects in low-rise buildings exhibiting lateral-torsional behavior can be reduced with minimal seismic retrofit.


    저층 건축물의 횡-비틀림 거동은 고차모드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내진성능평가 시 관련 기준은 고차모드 지배 구조물에 대해 비선형정적해석과 함께 선형동적해석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선형동적절차에는 상당한 안전계수가 적용되므로, 이는 과도한 내진보강설계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엔지니어들은 내진보강 시 고차모드 효과를 줄이기 위해 시행착오법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시행착오법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결정된 보강안이 최적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저층 건축물의 수학적 모델을 수립하고 응답스펙트럼해석을 통해 고차모드 효과에 비틀림이 독립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내진보강 설계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도표와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절차를 통해 최소한의 내진보강으로 횡-비틀림 거동하는 저층 건축물의 고차모드 효과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Effectiveness of a Plastic Design Approach for CFT Columns in Frame Structures Subjected to Lateral Forces

    수평 하중을 받는 프레임 구조물에서 CFT 기둥의 소성 설계 접근법의 효율성 분석

    SeongHun Kim, Hyo-Gyoung Kwak

    김성훈, 곽효경

    In this study, when designing a frame structure based on plastic design, the differences in structure manufacturing cost and behavior according to …

    본 논문에서는 소성 설계를 기반으로 한 프레임 구조 설계 시, 기둥의 종류에 따른 구조 제작 비용과 거동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축력과 횡력을 모두 …

    + READ MORE
    In this study, when designing a frame structure based on plastic design, the differences in structure manufacturing cost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 of column are investigated. It is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column member for a structure that is subjected to both axial and lateral loads. If the plastic design method is adopted for the efficient design of the structure, the role of the column becomes more emphasized because not only the beam but also the column plays the role of transferring the surplus moment to other members when the beam is subjected to an overload. In particular, the lateral load requires the ductility of the column, and the Concrete filled tube (CFT)-type column member secures the ductility through a higher steel ratio than the Reinforced Concrete (RC) member. Therefore, if the structure is designed by applying plastic design to the structure to which the lateral load is applied, the CFT column member will show better performance than the RC column member. To confirm that the CFT member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RC, in this study, the columns are designed and analyzed differently for a symmetric structure with a low floor, an asymmetric structure with a low floor, and a symmetric structure with a high floor. The advantages of adopting CFT column members on frame plastic design will be shown through the differences in the load type and cost of the columns according to the various structure types.


    본 논문에서는 소성 설계를 기반으로 한 프레임 구조 설계 시, 기둥의 종류에 따른 구조 제작 비용과 거동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축력과 횡력을 모두 받는 구조물에 적합한 기둥 부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플라스틱 설계 방법을 채택할 경우 기둥의 역할이 더욱 강조된다다. 특히, 횡력은 기둥의 연성을 요구하며, CFT(콘크리트 충전 강관)형 기둥은 RC(철근 콘크리트) 기둥보다 높은 강철 비율로 연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CFT 기둥이 RC 기둥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 유형에서 기둥을 설계하고 분석하였다. CFT 기둥을 소성 설계에 채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다양한 구조 유형에 따른 하중 유형의 분석을 통해 제시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Missile Radome Considering Flight Scenario

    비행 시나리오에 의한 미사일 레이돔의 열전달 특성

    Sangbin Han, Dongkyun Lee, Kyeongho Lee, Sunghwan Yim, Hyung Hee Cho

    한상빈, 이동균, 이경호, 임성환, 조형희

    The radome of a supersonic or hypersonic missile endures excessive heat flux due to aerodynamic heating. As the speed and altitude of …

    초음속 혹은 극초음속 미사일의 레이돔은 공력 가열로 인해 과도한 열유속에 노출된다. 또한 미사일은 발사 후 속도와 고도가 변화하면서 이에 따라 레이돔에 가해지는 …

    + READ MORE
    The radome of a supersonic or hypersonic missile endures excessive heat flux due to aerodynamic heating. As the speed and altitude of a missile vary after launch, the heat flux on the radome changes accordingly. If the temperature of the radome surpasses the operational limit of the material owing to these thermal loads, it loses its protective function for the radar. Thus,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radome under different flight conditions must be considered in radome design. In this study, the quasi-transient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radome in a hypothetical flight scenario, aiming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quasi-transient method. Using this approach, the time-dependent heat flux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n the external wall of the radome were determined. After 15 s, certain parts of the external wall of the radome exceeded the operational temperature of the material. Furthermore, by comparing quasi-transient and fully transient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radome temperature could be estimated within 15% accuracy, and analysis time was reduced by 75%,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quasi-transient method.


    초음속 혹은 극초음속 미사일의 레이돔은 공력 가열로 인해 과도한 열유속에 노출된다. 또한 미사일은 발사 후 속도와 고도가 변화하면서 이에 따라 레이돔에 가해지는 열유속이 변화한다. 이러한 열부하에 의해 레이돔의 온도가 소재의 허용 온도를 초과하면, 레이돔은 레이더를 보호하는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비행 시나리오에 따른 레이돔의 열전달 특성을 고려하여 레이돔을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준-비정상 기법을 적용하여 가상의 비행 시나리오에서의 레이돔의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고 준-비정상 기법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준-비정상 기법을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레이돔 외벽의 열유속과 온도 분포를 도출하였으며, 15초 이후 레이돔 외벽의 온도가 소재의 허용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부분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준-비정상 기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와 비정상 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레이돔 평균 온도 측면에서 15% 이내의 오차로 예측할 수 있고 해석 소요 시간은 75%가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여 준-비정상 기법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Analysis of the Confinement Effect of a Concrete-Filled Tube Strengthened with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s

    전단연결재로 보강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심부구속효과에 대한 분석

    Sung-Wook Hong, Se-Yun Kim, Tong-Seok Han

    홍성욱, 김세윤, 한동석

    A concrete filled tube (CFT) that is subjected to compressive loading exhibits a reduction in brittleness of internal concrete. This reduction in …

    압축하중을 받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CFT) 부재는 강관에 의한 심부구속효과로 인해 내부 콘크리트의 취성이 감소하며, 이는 CFT 부재의 압축강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

    + READ MORE
    A concrete filled tube (CFT) that is subjected to compressive loading exhibits a reduction in brittleness of internal concrete. This reduction in brittleness is a result of the confinement effect caused by the steel tube, which significantly increas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FT. In this study, the confinement effect of the concrete was enhanced by reinforcing the steel tube with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known as perfobond leiste (PBL). The confinement effect was evaluated by implementing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and boundary conditions within the finite element method model. To simulate the interface behavior between steel and concrete more accurately, cohesive elements were employed in the model, which enabled the modeling of the load transfer path between the steel tube and the concrete. To verify the improvement in the confinement effect resulting from the use of shear connectors, experiments and simulations were conducted on scaled models of the CFT with PBL. A comparison with a CFT without PBL confirme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ations in diameter and number of holes in the PBL on the shear resistance and confinement effect. The impact of variations in shear resistance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CFT was investigated, and the consistency between experimental and simulation results was evaluated.


    압축하중을 받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CFT) 부재는 강관에 의한 심부구속효과로 인해 내부 콘크리트의 취성이 감소하며, 이는 CFT 부재의 압축강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강관을 퍼포본드 리브 전단연결재로 보강하여 콘크리트의 심부구속효과를 향상시키고, 유한요소해석 모델에서 재료 특성 및 경계 조건을 설정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이때, 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계면 거동을 보다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해 cohesive element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강관과 콘크리트 간 하중 전달을 모델링하였다. 전단연결재로 인한 심부구속효과 향상을 검증하기 위해 퍼포본드 리브 전단연결재가 적용된 CFT 부재의 축소 모델에 대한 실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전단연결재가 없는 CFT 부재와의 비교를 통해 성능 향상이 확인되었다. 퍼포본드 리브 전단연결재는 홀의 지름 및 개수를 변화시키며 파라미터 스터디를 수행하였고, 이로 인해 전단연결재의 전단저항력 변화가 심부구속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전단연결재의 전단저항력 변화에 따른 CFT 부재의 구조적 성능 차이를 분석하면서, 실험과 유한요소해석의 일치성을 검토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Comparison of Diverse Topology Optimization Methods for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Technique

    광학 근접 보정 기술을 위한 다양한 위상 최적설계 방법의 비교

    Young Hun Choi, Sol Ji Han, Jae Yeop Na, Gil Ho Yoon

    최영훈, 한솔지, 나재엽, 윤길호

    This study applies diverse topology optimization methods to the design of masks used in photolithography processes and compares their performance in optical …

    본 논문에서는 마스크 설계에 다양한 위상 최적설계 기법을 적용하고, 광학 근접 보정 성능을 비교한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중 포토레지스트에 가해지는 빛의 간섭 효과를 …

    + READ MORE
    This study applies diverse topology optimization methods to the design of masks used in photolithography processes and compares their performance in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OPC). During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technique that compensates for the effects of light interference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determining semiconductor quality. In traditional OPC, the design is performed by adjusting local parts of the mask and verifying the correction effects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Since there are limitations in obtaining optimal mask patterns by using empirical design methods, the need for mask design using the topology optimization is increasing and some studies have utilized the topology optimization using gradient-based algorithm.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designs obtained from conventional optimization with those obtained from topology optimization for binary structure (TOBS) and newly developed continuated TOBS and suggest further optimization directions.


    본 논문에서는 마스크 설계에 다양한 위상 최적설계 기법을 적용하고, 광학 근접 보정 성능을 비교한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중 포토레지스트에 가해지는 빛의 간섭 효과를 보정하는 광학 근접 보정 기술은 반도체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광학 근접 보정 기술에서는 마스크의 일부 요소를 조정하며 보정 효과를 시뮬레이션과 실험으로 확인하면서 설계를 진행한다. 이러한 경험적 설계를 통해 최적의 마스크 형상을 얻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위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마스크 설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민감도 기반 알고리듬을 이용한 위상 최적설계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 구조 위상 최적설계(TOBS)와 새롭게 고안한 완화된 이진 구조 위상 최적설계(Continuated TOBS)를 이용하여 기존 최적설계와 비교하고, 더 발전된 최적설계 방향을 제시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Quasi-Dynamic Analysis Model of Mooring Lines Using Response Surface Approximation Method

    응답면 근사 기법을 적용한 계류선의 준동적 해석 모델

    Wonsuk Park

    박원석

    This paper proposes a quasi-dynamic mooring line analysis method that accounts for dynamic effects when calculating the tension on the mooring lines …

    이 논문에서는 부유식 구조체의 계류선에 작용하는 장력을 계산함에 있어서 동적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준동적 계류선 해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동적 계류선 해석 …

    + READ MORE
    This paper proposes a quasi-dynamic mooring line analysis method that accounts for dynamic effects when calculating the tension on the mooring lines of floating structures. The quasi-dynamic approach calculates the static tension of the mooring line at each time step using the elastic catenary solution and then applies a quasi-dynamic tension coefficient to account for the drag and inertial forces due to velocity and acceleration. To improve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of determining the static elastic catenary solution, a response surface method was employed. Additionally, a new technique was introduced to determine the quasi-dynamic tension coefficient by combining the dynamic coefficient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proposed model was validated through a motion analysis of a moored barge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dynamic, quasi-static, and quasi-dynamic models under various wave conditions. The quasi-dynamic model demonstrated tension responses similar to the responses of the dynamic model, particularly in the frequency ranges where the dynamic effects on the mooring line are significant.


    이 논문에서는 부유식 구조체의 계류선에 작용하는 장력을 계산함에 있어서 동적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준동적 계류선 해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동적 계류선 해석 방법은 매 시간 단계에서 계류선의 탄성 현수선 해석해에 기반한 정적 장력을 계산한 후, 준동적 장력 계수를 적용해 속도와 가속도에 따른 항력 및 관성력의 영향을 반영하는 방법이다. 제안하는 방법은 정적 탄성 현수선 해석해를 구할 때 계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응답면 기법을 도입하고, 수평 및 수직 방향의 동적 계수를 결합하여 준동적 장력 계수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계류된 바지선의 운동 해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다양한 파 조건에서 동적, 준정적, 준동적 모델을 비교한 결과, 제안된 준동적 모델은 상대적으로 계류선의 동적 효과가 큰 주파수 대역에서 동적 모델과 유사한 장력 응답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Journal Informaiton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NRF
  • KOFST
  • crossref crossmark
  • crossref cited-by
  • crosscheck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